힘들면 쉬어가요 ! 더불어 사는 세상

역술상담 지치고 힘든가요? 쉬어갑시다 ! 내일은 훨씬 좋아질테니...

풍수

내가 사는 토지 , 풍수적 재물터 ?

운세만세 2023. 1. 28. 14:20
728x90
 

전통적으로 풍수에서는

산은 陽이고 물은 陰으로 보지만

動靜론으로 보면, 땅은 멈추어 있으니 陰이요, 물은 흘러움직인 陽으로 봅니다

만일

내가 사는 토지가 명당이고 재물기운이 있는지를 분석하려면,

무엇보다도

토지 주변의 산 기운을 분석해야 하지요.

왜냐하면, ​山이 그 주변지역 기운을 대표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이지요

한마디로 말해

내가 사는 토지가 기운이 좋은지 아닌지는 주변의 산을 보면 비교적 쉽게 알 수 있는것입니다

1. 산도 앞과 뒤가 구분되어 있어요

​음양론에 따르면 우주만물은 항상 음과 양이 있듯이,

사람신체도 앞뒤가 구분되어서 중요한 얼굴,눈,코,입,귀가 모두 앞에 있고 생식기관도 앞쪽에 있고

신체 뒤에는 머리카락만 있지요

 

산도 마찬가지로

산 앞은 포근하고,부드러우며 ,밝은 기운이 있어 평지와 들판이 있고 사람이 살기좋은 마을이 있지요

산 뒤는 험준하고, 어두우며,습하니 ...사람이 살기에 안맞아요

그래서

명당은 대부분 산 앞에 있는 거지요

(물론 예외로 산중턱이나 정상에 있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또한

기운을 보호하고 감싸주는 좌청룡,우백호,남주작,북현무 같은 사신사도

자기 앞쪽으로 명당이 존재하게 되는겁니다

이러한 명당에 사람이 살면 발복하거나 행운이 따르게 되는데

산뒤는 배신하는 형상이니 그 곳에 사람이 살게되면 필시 남들에게 배신당할 일을 겪게 되지요

2. 산은 모양에 따라 각기 다른 오행 기운을 갖고 있어요

산은 산봉오리와 산세를 보고 산이 귀한가, 천한가,약한가,강한가로 구분하고,

형국에 따라 목화토금수 오행산으로 구분하는데요

 

대체로 목,토,금형태의 산은 기운이 뭉치는 모양이니 좋고,

화,수형태의 산은 기운이 흩어지는 모양이니 좋지 않은 것으로 보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주위산의 형국과 오행 상생하는가? 상극하는가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하니까요

 

 

3. 명당 위치는 어디서 찾을까

능선을 쭉~ 연결하고 산의 형국과 형세를 보면,

대략적으로 어디쯤 명당이나 혈이 맺힐 수있는지를 알 수 있는데..

전문적 식견이 필요한 사항이라 ...일반인은 쉽지 않을 수도 있구요

4. 그 다음에는 청룡,백호,안산을 보면서 기운을 포근히 감싸는지를 봐야해요..

만일 사신사가 명당터를 배반하여 뒤돌아 앉거나 뒤쪽을 보이고 있다면 배반기운이 있어 안좋아요

5. 마지막으로 물을 봐야하는데요..

물흐름이 어디서 시작되었는지,

물흐름이 곡선인지,직선인지

좁은지,넓은지 등을 체크해야 해요

이때 제일 중요한 것은 바로 역수(逆水)가 있는 지를 보는 겁니다

역수가 왜 중요하냐구요?

 

천지이치에 따르면

우주에는 직선이 없으며, 모든 것이 곡선으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

 

역수는

물흐름을 곡선으로 만들어 주기 때문이고, 재물 기운을 모이게 하기 때문이지요

우리나라 대표적 부자동네인 서울 한남동은 한강과 별개로 청계천이 역수를 이루고 있으며

전국적으로도 부자동네는 대부분 역수나 역수도로가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마찬가지로

내가 사는 토지나 집 근처에 물흐름이나 도로흐름이 역수관계를 이룬다면

필수 재물이 모이고 반드시 부자가 됩니다

물론 역수도 다 좋은 건 아닙니다..

그 방향이 매우 중요하여 토지나 집의 향을 같이 보아야 하는데

어쨋든 땅기운(地運)이 현재는 2016년 8운(地運 )시기라...동서방향이 좋습니다

분명한 것은

이런곳에 위치하면 재물복만은 반드시 좋다는 것입니다,, 쉽게말해 돈많이 번다는 얘기지요

그럼

가 사는 집이 풍수적으로 재물이 모일 것인를 어떻게 알수 있을까요?

몇가지 스킬이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