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면 쉬어가요 ! 더불어 사는 세상

역술상담 지치고 힘든가요? 쉬어갑시다 ! 내일은 훨씬 좋아질테니...

풍수

풍수 , 바람을 만나면 기가 흩어지고, 물을 만나면 기가 멈추니

운세만세 2023. 2. 3. 05:44
728x90

풍수는

과거 오래전부터 인간의 삶에  실제 활용되고  당대 풍수천재들의 노력과 정성으로 끝없이 발전해 왔는데, 그 효과가 아주 정확하고, 예리하여 일반서민들의 접근을 엄격히 통제하였고,
왕실등 일부계층에서만 비전으로 전해왔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른바  풍수를 "제왕학"이라 하여 일컬었지요

그만큼 풍수이론과 스킬도 다양하게 발전하여 왔으며, 그만큼 더욱 정확해지고, 發福기간도 짧아질 수 있게 되었던 것이지요.

하지만 아무리 많은 풍수이론과 스킬이라도 수천년이어 온 기본개념은 변하지 않습니다.


왜냐구요?
사실  풍수는 자연과 우주의 氣를 다루는 학문이라, 어쩌면 인간이 존재하기 훨씬전부터 이미 있었을 것이며, 그에 비해  인류역사는 수천년이라하더라도 너무 짧으니 풍수의 기본원리는 과거나 지금이나 똑같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형세풍수,형국풍수,삼합좌향풍수,현공풍수 등  다양한 풍수이론의 현란한 기법들을  실적 적용하여 짧은 시간에 발복 효과를 보려면, 아주 기본 개념만큼은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패철(나경)을 절대적으로 이용하는 현대 이기풍수도 전통적 풍수 개념 없이는 반쪽에 불과하지요

1. 氣란 바람을 만나면 흩어지고,물을 만나면 멈추게 되니, 氣를 모으는 것이 곧 風水

풍수는 주변의 바람과 물의 地勢를 읽어 地氣를 통한 명당자리를 찾는 것이 목적인데요.
이를 위해서는 龍.穴.砂.水가 중요합니다

풍수에서는 산을 龍으로 비유하니, 생기의 통로를  龍脈라 비유할 수 있는데 용은 살아있어야 하고 죽으면 이무기에 불과하니,산의 주변 형세를 보고 풍수기운의 생기를 정도를 논하게 됩니다,

이른바 간룡법(看龍法)인데,  우리나라 백두산에서부터 시작하여 백두대간을 거쳐온 태조산,중조산,주산,태,식,잉.육 등을 차근차근 짚어서 혈장을 찾고 명당을 찾는 것입니다


그 마다마다의 형세와 형국을 읽어 기의 흐름을 분석하여 인간의 運氣에 미치는 영향과 발복의 정도를 따집니다

물론 이러한 원리는 陰宅뿐 아니라 현대 陽宅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답니다 
기는 바람을 만나면 흩어지고,물을 만나면 멈추게 되니, 기를 모으는 것이 풍수이니까요

2, 풍수는 무엇을 보는가

 

 

태조산
혈의 발원이 되는 가장 크고 높은 솟은 산입니다.  태조산은 멀리 있어야 좋으니  한가문의 시조가 오래될 수록 존경받는 것과 같은 이치 입니다. 가장 크고 뛰어나서 주위에서 널리 숭상하는 산이니 여기에서 후손인 가지들이 뻗어나오지요
이런 산은 꼭대기가 흔히 구름으로 가려져 있는데,  그만큼 높은 조상이라 신비감을 더하기 위함일가요?  

중조산은
태조산에서 태조산 다음으로 웅장한 산이니, 태조산에서 혈쪽으로 산줄기가 뻗어 나오다가 크게 기운이 모아진 산입니다 .  국립공원의 유명한 산들은 대부분 중조산으로 보면되지요

주산은
태조산을 떠난 行龍이 사방으로 굽이치다가 혈 근처에서 높게 쏟은 산을 지나게 되는데, 그후 穴 바로 뒤에 자리잡은 산을 의미합니다. 혈을 낳으니 일종의 부모산이지요. 이 부모산이 태식잉육을 거쳐 명당터에 혈을 낳으니  아주 중요합니다. 부모없이는 자식이 안생기잖아요?

태식(胎息)이란
胎란 부모산에서 혈로 이어지는 부분을 말하는데,일종의 탯줄이지요. 너무 굵거나 험해도  안되는데,그 다음부분이 息이라 속기처가 되어 혈로 용의 정기를 보내는 곳입니다.

잉육(孕育)이란
아이를 잉태하여 불룩한 부분이니 진정한 혈을 낳는 과정입니다. 혈 바로 뒤에 있는데  둥그렇게 솟아야 좋은 기운이 모이게 됩니다. 그러고나면 바로 혈이 만들어져 흔히 명당앞에 위치하게 됩니다. 명당은 혈을 받치는 곳입니다

 

이 명당과 혈에 사람이든 무덤이든 있게되면  당사자에게 크게 발복하게 되고 행운과 복이 따르게 되는 것입니다

명당에 혈이 맺은 다음에는 이를 보좌하는 것이 있으면 더 좋겠지요.


이른바
사신도와 안산,조산,물이 그것입니다
는 좌청룡,우백호,전주작,후현무를 의미하고, 청룡은 생기 있게 꿈들거리는 모습이 좋고
백호는 절대 혈처나 명당을 물어뜯지 않도록 온화해야하고, 주작은 힘차게 날개짓을 하는 형상이 좋구요
현무는 머리를 차분이 하고 혈처를 받쳐주는 형상이 좋습니다

안산은 신하의 입장에서 명당과 혈의 기운을 편안히 받들고는 것인데.. 공손할 수록 좋지요..

그리고나서 중요한 것이 바로 물입니다

물은 기를 멈추게 하니, 이로서 기가 모여 좋은 혈처를 만들 수 있게 되지요.
물은 명당터를 중심으로 물을 얻는 위치 방위와 나가는 방위 또는 물이 명당터를 빠져나가는 모습이 아주 중요합니다

 인물 의미하고,  재물 의미하니 이 물의 모양에 따라 재물발복이 정해지지요 

이른바 득수법인데,  이것은 아주중요합니다

양택풍수에서는 도로를 물로 비유하므로 그 이치를 정확히 알아야 좋은 재물운과 복을 모을 수 있어요

정리하면

멀리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백두대간을 거쳐 달려온 "기운"이 태조산-중조산-주산에 도달하여 물에 의해 멈추어서 태식잉육을 거쳐 명당터에 혈을 낳게되고 그 명당터와 혈에 기가 가득 모이게 되고, 사신사의 호위와 안산의 조공을 받게되면,

이른바 발복의 요건이니,
만일 그 명당터에 가택이  들어서면 가정이 번창하게되고, 묘지가 들어서면 자손이 번영하게 돠며, 궁궐이나 왕궁이 들어서면 나라가 융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728x90